2011.7.31
보물 제35호인 석등은 실상사 보광전 앞뜰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불을 밝히는 등으로 장명등이라고도 부르며 불을 밝히는 화사석과 화사석을 받치는 받침돌 그리고 화사석을 덮는 지붕돌로 구분을 한다
그런데 이 실상사 석등은 팔각기둥의 전형적인 간주석과는 달리 장구의 형태인 고복형 간주석을 지닌 석등이다
실상사 석등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 밑으로 3단의 받침을 쌓고 있다
받침부분은 모두 3단으로 구성을 했는데 아래받침돌과 위덮개돌에는 8장의 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아래받침돌과 위덮개돌의 귀퉁이에 조각한 귀꽃이 색다른 석등이다
지대석은 밑에 팔각의 넓은 돌을 놓고 그 위에 안상을 새긴 팔각의 돌을 올려놓았다
중간 받침돌은 일반적인 팔각형이 아닌 장고통과 같은 형태로 둥글게 조각한 간주석을 놓아 특이하다
간주석에도 띠를 둘러 앙련을 조각하였으며 위에 연결된 조각은 흡사 네 잎 클로버와 같은 형태의 조각이 있어 색다른 아름다움이 엿보인다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에도 두 장의 커다란 앙련을 새겨 넣었다
전체적으로 큰 규모로 조형이 되어 석조계단을 조성해 놓고 그 위로 올라가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균형이 잡혀 있어 뛰어난 장인에 의해 아름답게 조형이 되었다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창을 뚫었는데 창 주위로 구멍들이 나 있어 창문을 달기 위해 뚫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화사석의 창을 보면 한면은 크고 딴면은 그보다 조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창 하나를 내면서도 조금 더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한 듯하다 아마 불을 붙이는 창을 크게 낸 듯하다
화사석 위의 덮개석인 지붕돌은 날렵하게 경사가 졌는데 팔각면의 끝에도 귀꽃이 자리하고 있다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가 모두 위로 치켜 올려진 형태로 팔작지붕의 날렵함을 지녔다
그기에 돌출된 꽃모양인 귀꽃을 조각하여 멋을 더했다
덮개석 위에 얹은 머리장식은 화려한 무늬를 새겼으며, 이 머리장식에도 화려한 무늬와 함께 귀꽃을 조각해 붙였다
실상사 석등은 받침돌 덮개석 머리장식이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귀꽃을 놓아 뛰어난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붕돌의 귀퉁이마다 새긴 꽃모양이나 받침돌의 연꽃무늬가 형식적인 점 등은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실상사 석등을 보면서 참으로 우리 선조들의 다양한 석조물 조형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원형 그대로를 거의 보존하고 있는 보물 제35호 실상사 석등
벌써 천년 세월을 서 있으면서도 그 아름다운 자태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풍경·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원 실상사수철화상보월탑,비 (0) | 2011.08.05 |
---|---|
남원 실상사삼층석탑 (0) | 2011.08.05 |
실상사석장승 (0) | 2011.08.04 |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 (0) | 2011.08.04 |
실상사백장암부도 (0) | 2011.08.04 |